그레고리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달력 개정을 위한 교황의 칙서.

그레고리력(영어: Gregorian Calendar)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태양력(太陽曆)으로, 1582년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이전의 율리우스력을 개정하여 시행한 역법을 말한다. 율리우스력의 계산법은 천체운행과 불일치함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하기에 이를 보정하기 위해 새로운 역법을 만든 것이다. 이 역법 사용이 전세계적으로 일반화된 시기는 20세기이며, 그 이전에는 정치·종교적 이유로 인해 개신교정교회 국가들이 기존의 율리우스력을 고수했다.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등은 1582년, 영국1752년, 일본은 1873년, 대한민국은 1896년, 러시아1918년에 그레고리력을 채택하였다.[1]

율리우스 카이사르기원전 46년에 제정한 율리우스력은 1년의 평균 길이는 365.25일로 보고 4년마다 하루를 추가하는 윤년을 두었다. 이는 천문학에서 1 회귀년 365.2422일보다 0.0078일(11분 14초)이 길어서 128년마다 1일의 편차가 발생한다. 그레고리력에서는 400년에서 3일(세 번의 윤년)을 없애는 방법을 통해 이 오차를 해결했다.

역법 개정의 필요성[편집]

그레고리력의 채택 동기는 부활절을 언제 지켜야 할 지에 대한 초대교회의 의견 차이로부터 시작되었다. 기원 후 4세기 초에 소아시아(현재의 터키)에 위치한 도시 에페소스의 주교인 폴리크라테스는 부활절의 날짜를 로마에서 공식적으로 정한 날짜와 달리 정함으로써 의견 충돌을 빚었다. 폴리크라테스 주교 역시 부활절의 날짜를 임의로 정한 것이 아니라 예수의 부활에 대한 요한 복음서의 기록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요한 복음서에 따르면 예수가 부활한 날은 니산 14일(춘분 즈음 시작하는 달의 보름: 유대인들의 광복절인 과월절 또는 유월절) 이후 첫 안식일의 다음날이었는데, 부활절을 히브리력(태음력)의 유월절에 따라 정해야 한다는 기독교 공동체들과 이에 반대하는 기독교 공동체들 간의 대립이 생겼다.

325년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에 의해 소집된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는 부활절을 모든 기독교인들의 교회력 시기로 통일하기 위해 춘분 이후 첫 보름 다음의 일요일로 정하였고, 춘분을 그 해 율리우스력에 따라 3월 21일로 확정하였다.

역법 개정(1582년)[편집]

율리우스력은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천문학적 햇수와 날의 계산에서 작은 편차가 있었다. 즉, 율리우스력의 한 해의 길이는 정확히 365일 6시간이며, 이는 천문학적으로 계산한 1년의 길이보다 약 11분 14초가 길다. 이 편차가 제1차 니케아 공의회로부터 1,250여 년 동안 누적된 16세기 후반에 이르러서는 춘분이 325년 당시보다 열흘이 빨라진 3월 11일 즈음이 되어 달력에 큰 오차가 생겼다.[2]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에서 교황에게 역법 개정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였다.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천문학자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역법을 제정한후 1582년 2월 24일에 칙령을 통해 이를 발표하여 역법 개정을 단행하였다.[3][4][5] 개정한 달력은 그의 이름을 따서 그레고리력으로 부르게 되었다.

윤년 계산법[편집]

개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1582년 10월 4일() 다음날을 1582년 10월 15일()로 한다.(위에서 설명한 열흘의 편차를 제거함)[6]
  2. 종전과 같이 4의 배수인 해를 윤년으로 한다. 그러나 100으로 나눌 수 있지만 400으로 나뉘어 떨어지지 않는 해는 예외적으로 윤년에서 제외하여 평년으로 한다.[6]

그레고리력은 1년을 365.2425일로 보아 율리우스력의 400년에서 3일을 빼야 했고, 이를 위해 400년에서 3번의 윤년을 평년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썼다. 즉, 율리우스력에서 4년마다 발생하는 윤년 중에서 1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평년으로 수정을 하되(400년의 일수가 4일 감소), 다만 그 중 4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여전히 윤년으로 두었다. 예를 들어, 1700년, 1800년, 1900년, 2100년, 2200년, 2300년은 평년으로 변경이 되어 윤년에 해당되지 않지만, 1600년, 2000년, 2400년은 여전히 윤년으로 된다.

이로써 400년의 일수가 율리우스력에 비하여 3일 감소하여 1년의 평균 일수가 종전의 365.25일로부터 365.2425일로 단축 되고, 이는 평균 태양년 365.2422일에 더욱 근접하는 값으로 천문학의 회귀년보다 0.0003일(26초)이 길고 약 3,300년마다 1일의 편차가 난다.[7]

그레고리력의 채택[편집]

21세기 현재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그레고리력이 통용되고 있지만, 20세기에 보편화하기까지 다양한 과정을 지났다. 천주교 국가들이 그레고리력 제정 후 1년 만에 대부분 이 역법을 시행했다. 그러나 정치와 종교적 이유로 개신교 국가들은 18세기 전반까지, 정교회 국가들은 20세기 초까지도 기존의 율리우스력을 고수했다. 국교가 개신교인 영국1752년 9월 2일 다음날을 9월 14일로, 정교회 지역인 러시아러시아 혁명 직후 1918년 1월 31일 다음날을 2월 14일로 하여 그레고리력을 채택하였다.[8] 미국은 1776년 독립을 선언하며 영국의 그리고리력 사용을 그대로 수용하였다.

이렇게 나라마다 역법이 달랐기 때문에 역사가들은 어떤 사건이 정확히 언제 일어났는지 규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9] 한 예로서 안톤 체호프독일의 바덴바일러에서 사망했을 때 그곳 경찰이 기록한 사망 날짜는 그레고리력에 따른 1904년 7월 15일이지만, 당시 러시아에서 쓰이던 율리우스력으로는 7월 2일이며 체호프 연구학회에서는 지금도 체호프의 사망일을 7월 2일이라고 한다.

한국의 양력 사용[편집]

조선 효종 5년 (1654년) 이래 태음태양력인 시헌력(時憲曆)을 사용했는데,[10][11] 1895년 김홍집 내각에 의해서 갑오개혁 차원에서 그레고리오력 채택을 추진하였다.[12] 1895년 9월 9일자 《관보》에 태양력을 사용하라는 조칙을 실었다. 고종은 김홍집의 의견을 받아들여 음력 1895년 11월 15일에 공식적으로 개력을 반포하였다.[13] 이로써 음력 1895년 11월 17일을 양력 1896년 1월 1일로 정하여[12] 양력을 사용하게 되었다.[14] 태양력 채택을 기념하며 연호건양(建陽)으로 변경하였다.

태양력을 사용하게 되면서 그에 따른 업무를 관할한 곳은 관상감의 후신인 관상소였다.[13] 관상소에서는 새로운 책력을 배포하였으나 갑작스런 양력의 사용은 백성들뿐만 아니라 행사가 많았던 궁궐에서 조차 매우 혼란스러웠다. 음력으로 농사를 짓던 농촌의 촌로들은 크게 반발하며 책력을 내던지기도 했다고 한다. 현재까지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태양력 또는 양력은 그레고리력이다.

참고 문헌[편집]

  • 《시간의 지도: 달력》, E.G. 리처즈, 이민아 옮김, 까치, 2003.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이무열 <한권으로 보는 러시아사 100장면> 가람기획 1994.10.20, p351
  2. [네이버 지식백과] 태양력 [solar calendar, 太陽曆] (두산백과)
  3. 우문기 (2011년 2월 24일). “[역사 속의 인물] 현재의 양력 만든 교황 그레고리오 13세”. 매일신문. 2011년 2월 24일에 확인함. 
  4. Inter Gravissimas Bill Spencer's (in English) translation of the Inter Gravissimas, 1999, revised 2002, based on Rodolphe Audette's transcription of the (in Latin) text. Also includes Rodolphe Audette's translation into (in French).
  5.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1월 초판 p405
  6. 존 줄리어스 노리치 <교황연대기> 바다출판 2014.8.5 p604
  7. 윤년인 2088년의 춘분점은 GMT시간으로 3월19일 15:16이므로 KST로는 3월20일 00시16분이 춘분점이 된다. 윤년인 2092년2096년에는 춘분이 3월 19일이다가 평년2100년에 다시 3월 20일이 된다. 참고: Solstices and Equinoxes: 2001 to 2100 Greenwich Mean Time
  8. 이무열 <한권으로 보는 러시아사 100장면> 가람기획 1994.10.20, p351
  9. Gerald Leinwand (1986). 〈Prologue: In Search of History〉. 《The Pageant of World History》. Allyn & Bacon. 4쪽. ISBN 978-0-205-08680-1. England did not adopt the New Style calendar until 1752, and Russia did not adopt it until the Russian Revolution of 1917. Different dating systems in calendars make it hard for the historian to determine when something actually happened. 
  10. [네이버 지식백과] 태양력 [solar calendar, 太陽曆] (두산백과)
  11. [네이버 지식백과] 역법 [calendar, 曆法] (천문학백과)
  12. 김은신 <한국 최초 101장면> 가람기획 1998.9.10 p216
  13. 김은신 <한국 최초 101장면> 가람기획 1998.9.10 p217
  14. [조선왕조 실록] 고종 실록 33권, 고종 32년 음력 1895년 11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