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ublished: 06 Sep 2012
- views: 359
Data (/ˈdeɪtə/ DAY-tə, /ˈdætə/ DA-tə, or /ˈdɑːtə/ DAH-tə) is a set of values of qualitative or quantitative variables; restated, pieces of data are individual pieces of information. Data is measured, collected and reported, and analyzed, whereupon it can be visualized using graphs or images. Data as a general concept refers to the fact that some existing information or knowledge is represented or coded in some form suitable for better usage or processing.
Raw data, i.e. unprocessed data, is a collection of numbers, characters; data processing commonly occurs by stages, and the "processed data" from one stage may be considered the "raw data" of the next. Field data is raw data that is collected in an uncontrolled in situ environment. Experimental data is data that is generated within the context of a scientific investigation by observation and recording.
The Latin word "data" is the plural of "datum", and still may be used as a plural noun in this sense. Nowadays, though, "data" is most commonly used in the singular, as a mass noun (like "information", "sand" or "rain").
Scarlet Letter, 36회, EP36, #05
[신문 면대면] 라오스 탈북자 미스테리
[TV데일리시큐] 빅데이터와 개인정보보호 마케팅과 대화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른 데이터보안 변화 [TalkIT, 한국보메트릭]
Will it float? The glory and shame of floating-point audio
미얀마 난민 4가족 입국…재정착난민 1호
잇따른 연예인 마약 사건, 시민 생각은?
[34회 본방] 나타나지 않는 사람들…그들은 왜? / YTN
디지털 기록…잊혀질 권리 vs. 알 권리 / YTN
[뉴스통] "인터넷의 나, 제발 지워주세요"...잊힐 권리 초안 공개 / YTN
공식 홈페이지 http://www.imbc.com/broad/tv/drama/scarlet/ Scarlet Letter(주홍글씨), 36회, EP36, 2010/09/29, MBC TV, Republic of Korea 36회 방송
설명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른 데이터보안 변화 [TalkIT, 한국보메트릭] 게스트: 구병춘부장 / 한국보메트릭 호스트: 고우성 지식PD / IT지식방송 TalkIT #주요내용 데이터암호화 의무조건 부여로, 국내개인정보 규제 강도 높음 암호화 의무적용대상은 데이터데이스뿐만 아니라 WAS,서버등 모든 곳에 저장된 데이터 포함 비정형데이터도 데이터암호화 적용대상 IT愛 빠지다, 토크아이티: http://www.talkit.tv
In which we discuss the embarrassing topic of floating-point audio, and the benefits and criticisms that will come your way if you dare to try it. 16-bit PCM is one of the most common formats in digital audio. But it's getting old; do you remember CDs? Time to consider something else beyond integer and fixed-point. Let your fellow programmers mock. You will rock.
예약해놓고 취소 연락 없이 나타나지 않는, 이른바 '노쇼'(No-Show)가 최근 하나의 사회문제로 주목받고 있다. 그로 인한 피해는 모두 업주들의 몫, 그들은 생계까지 위협받고 있다. 금전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권리를 빼앗긴 피해자들도 있다. 빈자리가 없어 돌아가는, 아예 예약조차 하지 못하는 사람들이다. 장소나 업종을 불문하고 다양하게 나타나는 노쇼 현상. '코리안 타임'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성숙하지 못한 대한민국의 약속 문화를 YTN 국민신문고에서 집중적으로 보도한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pn/0481_20160310214734632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앵커] 인터넷 환경이 발달한 우리나라 역시 '잊혀질 권리'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알 권리를 침해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면서 찬반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습니다. 설다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 2009년 방송 프로그램에서 남성 비하 발언으로 인터넷에 신상이 공개된 A양. 여자 연예인과의 열애 사진을 공개했다가 다른 사람과 결혼한 연예인 B씨. 지우고 싶지만 지울 수 없는 이른바 '디지털 기억'의 당사자들입니다. 이처럼 온라인 상에 남아있는 개인적인 정보가 공개돼 곤란을 겪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그러자 우리나라에서도 '잊혀질 권리'를 법으로 보장해야 한다는 논의가 일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개인정보 보호와 알 권리에 대한 논쟁은 팽팽합니다. 찬성 측은 한 순간의 실수로 개인의 행복 추구권이나 프라이버시가 무너져서는 안된다고 주장합니다. [이상직, 변호사] "제삼자가 올린 것이라든지 아니면 언론 보도가 된 것이라든지 그런 것들로 인해 대학에 입학이 안 되고 취직이 안 되고 다니던 직장에서 나중에 쫓겨나고 이래선 안 될 것 같거든요. 그런 점에서 그런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는 잊혀질 권리를 인정해 주는 것이 인권의 사각지대를 보호하는…." 반면 인터넷 정보는 공공·역사적 기록물이기도 한 만큼 알 권리 침해 우려가 있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특히 정치인이나 기업이 공익적 가치가 있는 정보까지 지워버릴 경우, 심각한 정보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권헌영, 광운대학교 법대 교수] "다른 사람에 대해 정당하게 표현해 놨던 거,...
"우리의 과거는 디지털 피부에 문신처럼 아로새겨져 있다" 미국의 기업인 J.D 레시카가 1988년 한 인터넷 잡지에서 한 말입니다. 그만큼 우리의 삶 중에 많은 흔적들이 인터넷에 있다는 뜻인데요. 이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잊혀질 권리'에 대한 논의가 뜨겁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개인의 사생활 보호를 위한 '잊혀질 권리' 구체적으로 어떤 권리인지 먼저, 살펴볼까요. 잊혀질 권리란, 원하지 않는 자신의 정보가 인터넷상에 떠돌고 있을 때 이를 삭제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이 잊힐 권리를 처음 주장한 사람은 누구일까요. 지난 2010년, 스페인의 한 변호사인 마리오 곤살레스 인데요. 숨기고 싶은 과거 사실을 담은 기록을 구글 검색에서 제외될 수 있게 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그리고 2014년 5월 유럽사법재판소가 곤살레스의 손을 들어주면서 '권리'로 인정됐습니다. [박경신 / 고려대학교 법학대학원 교수 : 유럽 사법 재판소 판결 같은 경우, 어떤 내용을 인터넷에서 지우라는 것은 아니었고요. 어떤 내용이 있으면 그 내용이 그 사람 이름을 검색어로 넣었을 때 나오는 검색 결과에서는 배제하라는 매우 한정된 판결이었습니다.] 유럽의 판결 이후 국내에서도 법제화 논의가 활발해졌습니다. 잊혀질 권리를 주장하는 의견에 대립해 알 권리를 주장하는 반대 의견이 나왔습니다. 정치인이나 기업이 공익적 가치를 지닌 정보까지 지워버릴 경우, 심각한 정보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겁니다. [권헌영 / 광운대학교 법대 교수 : 다른 사람에 대해 정당하게 표현해 놨던 거,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