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대문
금강산(金剛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에 있는 높이 1,639m의 산이다. 계절에 따라 봄에는 금강산, 여름에는 봉래산, 가을에는 풍악산, 겨울에는 개골산으로 불렸다. 동서로 40km, 남북으로 60km, 총 면적 530km²으로 수많은 봉우리, 오랜 기간의 지질활동과 풍화작용으로 생긴 기암괴석, 폭포, 그리고 바다를 낀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으로 덮여 있다. 흔히 내금강, 외금강, 해금강으로 나뉘며, 때로는 외금강의 남쪽 지역이 신금강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금강산은 예로부터 아름답기로 국내외에 유명하며, 대대로 많은 예술가의 표현 대상이 되었다. 2002년 10월 23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가 채택한 ‘금강산 관광지구법’에 의해 금강산은 엄격히 보호되고 있다.
정주영 전 현대 그룹 명예 회장이 1989년 방북하고, 금강산 관광개발 의정서를 체결하고 나서, 9년 뒤인 1998년 11월 18일에 금강호가 처음 출항함으로써 본격적인 금강산 관광이 시작되었다. 2008년 관광객 피격 사건 이후 금강산 관광은 잠정 중단되었다. 금강산지역은 2002년 11월 23일에 금강산관광지구라는 특별행정구역으로 지정되었다.
2010년 1월 4일에 한국 중부에 내린 폭설은 대한민국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인천, 경기도, 강원도 등을 비롯한 한국 중부 대부분 지역에 내린 폭설이다. 특히 서울에는 하루 동안 25.8㎝의 눈이 내리면서 1937년에 적설 관측을 시작한 이래 최대 신적설을 기록하였다. 수도권과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다.
폭설이 있었던 1월 4일에 상층에는 영하 30도 안팎의 찬 공기가 위치하고, 중국 중부 내륙에서 접근하던 저기압이 서해를 지난다. 이 저기압이 많은 양의 수증기를 공급받아 중부 지방 내륙의 찬 공기와 충돌하여 강한 눈구름대가 발생하였다. 이 눈구름대의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저기압의 북쪽에 위치한 서울과 인천, 경기도, 강원도 지방에 많은 눈이 내렸다.
언론에서는 이날 내린 많은 눈을 '100년만의 폭설'이라고 칭하면서 피해 상황을 보도할 만큼, 폭설 피해가 심각하였다. 하루 종일 영하권을 보이면서 수도권 주요 도로에서 하루 종일 극심한 정체가 이어졌다. 또한 쌓인 눈으로 인해 비닐 하우스, 축사, 인삼재배시설 등의 시설물이 파손되기도 하였다.
위키백과는 위키를 이용하여 전 세계 사람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웹 기반의 다언어 백과사전입니다. 위키백과는 중립적이고 검증 가능한 자유 콘텐츠 백과사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젝트로, 누구나 참여하여 문서를 수정하고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는 다섯 가지 기본 원칙에 따라 운영됩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복사, 수정과 배포가 자유롭고 상업적 목적의 사용도 가능합니다.
모든 사용자는 위키백과에 직접 참여해 확인 가능 지침과 저명성 지침, 편집 지침 등 위키백과의 기본적인 규칙을 준수하여 문서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문서 편집은 과감하게 해주세요.
위키백과에는 여러분을 돕기 위해 많은 문서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인 길라잡이부터 새 문서를 만드는 방법, 그림 사용 방법 등이 친절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나 사용법에 대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FAQ을 참고하시고 질문방에 질문하는 것을 주저하지 마세요. 요청을 남기면 다른 사용자들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 4월 2일, 케냐 가리사 가리사 대학교에서 테러가 발생하여 152명이 사망하였다.
- 4월 1일, 러시아 오호츠크 해 캄차카 반도 부근에서 트롤선 달니 보스토크가 침몰하여 56명이 사망하였다.
- 3월 24일, 프랑스 알프드오트프로방스 주에서 비행기 추락 사고가 일어나 승객 모두 사망했다.
- 3월 23일, 싱가포르의 전 총리 리콴유(사진)가 사망했다.
- 3월 20일, 오스트레일리아의 전 총리 맬컴 프레이저가 사망했다.
진행 중: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 · 이슬람 국가 토벌전 · 보코하람 반란 · 돈바스 전쟁 · 후티 반란
최근 사망: 리콴유 - 맬컴 프레이저 - 마흐디 압둘자흐라